본문내용 바로가기

거래소에 상장하여
주식처럼 거래하는
인덱스펀드 ETF

ETF는 추종하는 지수의 구성종목 전체에 분산 투자하는 펀드의 장점과
거래소에 상장되어 실시간 거래가 가능한 주식의 장점을
모두 가지고 있는 투자 상품입니다.

주식

  • 빠른 환금성
  • 증권거래세 없음
  • 거래소 상장
  • 실시간거래

펀드

  • 인덱스 펀드
  • 분산 투자
  • 투자종목 공개
  • 환매수수료 없음
  • 투명한 성과
  • 저렴한 비용
ETF

ETF의
특징과 장점을
살펴보세요

  • 저비용

   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
    운용사가 개입할 여지가 작아
    판매보수 및 수수료가 저렴합니다.

  • 소액 분산투자

    사전에 만들어진 지수에 연동되어
    지수의 구성종목 전체에 투자하는
    분산투자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.

  • 환금성

   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여
    높은 환금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

  • 투명성

    구성종목 및 벤치마크 추종 상태 확인이 가능하며
    거래소를 통해 직접 매매할 수 있습니다.

시장 구조

1. 발행시장(Primary Market)에서 기관투자가가 지정참가회사(AP)에 자산/ETF 납입, 2. 지정참가회사(AP)는 자산운용사에 설정 환매를 청구, 3. 자산운용사는 지정참가회사(AP)에 ETF 발행/소각, 4. 지정참가회사(AP)는 기관투자자에 ETF/바스켓 수행, 5. 유통시장(Secondary Market)에서 유동성공급자(LP)는 거래소에 LP 호가 제시, 6. 투자자는 거래소에 매매 주문 접수, 7. 거래소는 투자자에게 주문 체결

동영상 가이드

  • [투자의 정석 - ETF 편 OT] ETF 정체가 뭐야?? (feat. ETF 투자 백서, 투자 상식, ETF투자, 투자 인강, 투자 하는 방법, 키움)

  • [투자의 정석 - ETF 편 1화] 잠깐! ETF 투자하기 전에 이것만이라도 보세요.(feat. ETF 투자 장점과 단점, 기준가격, 시장가격, ETF의 특징 )

  • [투자의 정석 - ETF 편 2화] 복잡한 ETF 종류. 이것만 보면 끝! (feat. ETF의 종류, 주식형 ETF, 혼합형 ETF, KOSEF, KODEX, ETF 투자)

주요 용어정리

  • 기초지수
    • ETF가 추종하는 지수
    • ETF는 기초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ETF에 투자하면 기초지수 구성종목 전체에 투자하는 것과 같음
  • 기준가
    • ETF 내 보유 주식에서 발생하는 현금 배당금을 모아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것
    • 주식의 배당+채권의 이자+리츠 부동산 임대료 등을 통한 현금 이익
    • 일반적으로 연 1~2회 지급하며, 투자분배금에 대해서는 배당소득세(15.4%) 과세
    NAV : Net Asset Value
  • 실시간 추정기준가
    • 구성종목(PDF)을 이용해서 거래소가 10초 단위로 공표
    • ETF 매매 시 기준이 되는 가격
    iNAV : Indicative Net Asset Value
  • 분배금
    • ETF 내 보유 주식에서 발생하는 현금 배당금을 모아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것
    • 주식의 배당+채권의 이자+리츠 부동산 임대료 등을 통한 현금 이익
    • 일반적으로 연 1~2회 지급하며, 투자분배금에 대해서는 배당소득세(15.4%) 과세
  • 시장가격
    • ETF가 가장 최근 거래된 가격
    •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기 때문에 시장가격은 기준가(NAV) 혹은 실시간 추정기준가(iNAV)와 다를 수 있음
    • 시장에서 거래가 활발한 종목일 경우 시장가격과 실시간 기준가격 간 차이가 적음
    Market Price
  • 구성종목
    • ETF의 설정, 환매 단위가 되는 단위 포트폴리오 (주식+현금)
    • 매일 아침 운용사가 공표
    PDF : Portfolio Deposit File

사이트맵

KOSEF의 모든 페이지를 한눈에 보실 수 있습니다.

개인정보처리방침

개인정보처리방침

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